본문 바로가기
728x90

분류 전체보기92

미역취 #미역취 #식용나물 #식용약초 사용 :어린순 식용 / 전초약초 관찰 : 2020년 8월 20일 설명 : 국화과 식물이며 여러개의 산방꽃차례(위에서 순차적으로 핌)로 노랗게 핍니다. 꽃몽우리는 뽀족하게 무리를 이루는데 꽃피울준비를 할때는 조금 사나워보입니다. 줄기는 자주색을 띄며 잎은 가늘고 뽀족합니다. 어린순은 식용이 가능 하며 돼지나물이라고 불려집니다. 미역취는 묵나물로 사용해도 좋고 국을 끊일때 자주 사용 되는데 미역의 맛이나 좋습니다. 유사형태로 개미취가 있습니다. 생약명은 일지황화이며 기관지염, 이뇨작용, 황달, 두통, 편도염, 염증치료에 좋다합니다. 미역맛이 난다하여 미역취라 불리어지는 미역취입니다. #미역취 #식용나물 #식용약초 사용 :어린순 식용 / 전초약초 관찰 : 2020년 8월 20일 .. 2022. 8. 31.
쥐꼬리망초 #쥐꼬리망초 #식용약초 사용 : 코로나 임상/지상부약초 관찰 : 2020년 8월 20일 설명 : 꽃대에서 두개에서 세개정도의 꽃을 피우고 꽃색은 분홍색입니다. 꽃이지면 삭과(비틀어지는 열매)열매가 달립니다. 원줄기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갈라지는 부분이 붉은색을 띕니다. 생약명은 작상 이며 발열, 인후통, 관절염, 염증제거, 지혈, 간질환에 좋다고 합니다. 모약품회사에서 코로나 임상실험에 들어간 꽃입니다. 그만큼 약성이좋다는 말이겠죠. 쌍둥이 처럼 꼭붙어다니며 피는 쥐꼬리망초입니다. 이름유래 : 꽃대가 익으면 복슬해지는데 쥐꼬리를 닮아 붙여진이름이라합니다. 2022. 8. 27.
단풍취, 산나물 #단풍취 #식용나물 #식용약초 #꽃차재료 사용 : 어린순 식용/ 전초약초 관찰 : 2020년 8월 21일 설명 : 국화과 식물이며 꽃은 두상화(꽃대끝에 여러개의 총상 모임)로 피며 하얀색입니다. 여러잎장 가운데 하나의 꽃대가 올러와 꽃을 피웁니다. 줄기는 원줄기에서 여러줄기로 갈라지며 아래줄기는 보라색을 띕니다. 어린순에는 하얀색솜털을 볼수있는데 개발모양이라 개발딱주라고도 부르며 뿌리는 숙근이라 부릅니다. 관절염, 항염, 장염, 종기, 부스럼, 피로회복, 동맥경화, 고혈압에 좋다고 합니다. 유사형태로 돌단풍, 병풍쌈, 큰앵초가 있습니다. 이름에서부터 단풍잎과 닮음을 알수있는 단풍취입니다. 2022. 8. 25.
갈황색미치광이버섯, 환각버섯 #갈황색미치광이버섯 #독버섯 관찰 : 2020년 8월 25일 설명 : 미치광이버섯속이며 환각을 일으키는 버섯입니다. 갓색은 황토색이며 갓밑에 턱받이가 있고 노균화되면 떨어져나갑니다. 버섯대에 세로 결이 나있고 턱받이 바로위는 하얀색이 특징입니다. 최근 이버섯에서 항암치료 물질을 발견했다는 보고가 있으며 중독 되었을시 뇌신경계에 반응 하여 웃음, 흥분, 환각, 사물 색깔이 다르게 보이는등의 중독증상이 있습니다. 유사형태로 노란다발버섯, 개암다발버섯이 있습니다. 주의 : 갈황색미치광이버섯으로 담금주를 담아 섭취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불법이며 매우 위험하니 주의바랍니다. 2022. 8. 22.
돌양지꽃 #돌양지꽃 #식용나물 #식용약초 #꽃차재료 사용 : 어린순 식용/ 전초약초 관찰 : 2020년 8월 25일 설명 : 능선 양지바른곳 바위틈에 자리를 잡고 무리지어 자라납니다. 잎장은 단풍잎처럼 뽀족하고 톱니 모양 입니다. 양지꽃 잎장의 비해 줄무늬와 색이 선명하고 꽃잎은 다섯장입니다. 노란색꽃을 피우며 우리나라 고유종 입니다. 어린순은 나물로 사용가능한데 양이적어 효용가치는 없습니다. 생약명 지봉자라하며 혈액순환, 심혈관질환에 좋다합니다. 유사형태로 짚신나물, 양지꽃, 세잎양지꽃이 있습니다. 이름유래 : 양지에서 꽃이핀다하여 양지꽃이라 붙여졌다고 합니다. 2022. 8. 20.
큰참나물, 참나물 #큰참나물 #식용나물 #참나물 #식용약초 #꽃차재료 사용 : 어린순 식용/ 전초약초 관찰 : 2020년 8월 25일 설명 : 산형과(쌍떡잎식물) 식물로 높은산에 주로 자랍니다. 꽃색은 자색위에 흰색을 피우는데 참으로 곱습니다. 잎은 삼엽이고 결각이지면 다섯장으로 보이기도합니다. 어린순은 생채로도 사용가능 하고 독특한 향취가 있어 고급산채에 속합니다. 진삼이라는 이명이 있습니다. 생약명으로 야근채라고 하며 안구건조증, 당뇨, 변비, 심혈관질환, 항암, 고혈압, 빈혈, 기관지염에 좋다고 합니다. 유사형태로 파드득나물, 가는참나물, 참나물이있습니다. 이름유래 : 나물 이름에 참이 붙으면 나물중에 으뜸이라 참나물로 붙여졌다합니다. 2022. 8. 17.
꼬리조팝나무 #꼬리조팝나무 #식용나물 #식용약초 #꽃차재료 사용 : 어린순 식용/ 전초약초 관찰 : 2020년 8월 27일 설명 : 양지식물이며 산지나 습한곳이 자생지입니다. 반그늘에서도 잘자랍니다. 꽃은 원추형(차례로피는꽃)솜사탕처럼 부풀어 올라 피는데 진한 다홍색에서 점차 하얀색으로 색이 빠집니다. 꽃잎은 다섯장이고 수술이 혀를 내밀듯 살짝 나와있습니다. 진주화라고도 불려집니다. 어린순은 나물로 사용합니다. 생약명은 목상화라고 하며 변비, 관절염, 기침, 월경불순, 설사에 좋다고 합니다. 이름유래 : 조팝은 제주도 방언으로 조밥이며 붉은 긴꼬리 처럼보여 꼬리조팝나무라 붙여진 이름입니다. 2022. 8. 15.
잎말이나방 #야생관찰 #잎말이나방 관찰 : 2020년 8월 20일 잎말이나방의 유충을 관찰해보았습니다. 잎말이 나방의 종류는 엄청많다고 하는데 제가 관찰한 나방의종류는 잎말이나방과라고 하겠습니다. 밑분분 사진에 에벌레가 나오니 조금은 징그러우신 분들도 있겠습니다. 먼저 나방이 알을 낳을곳을 찾습니다. 그식물이 칡잎입니다. 칡잎은 크기가 큰편이고 영양가도 좋습니다. 칡잎은 사람한테도 좋은데 나방도 알아보는군요. 잘 선택한거 같고 잎에다가 알을 붙여놓고 돌돌 말아 기문(꼬리끝)에서 거미줄처럼 끈적한 실을 뽑아 말아줍니다. 알에서 깨어난 유충은 칡잎을 먹고 자라며 칡잎 안에서 잠을자고 배설도 하고 살다가 탈피를 하고 날아갑니다. 안녕하고 말이죠~ 2022. 8. 13.
포도색잔나비버섯 #포도색잔나비버섯 #찾기(버섯) #식독불명 관찰 : 2020년 8월 20일 설명 : 반원형의 질긴 코르크질 버섯입니다. 모양은 반원, 깔때기, 울퉁불퉁 층겹으로 불규칙적으로 나기도 합니다. 포도색 자색빛을 띄며 갓끝으로 갈수록 연한색을 보입니다. 자실층(갓뒷면)을 보면 관공이 촘촘히 자색으로 보입니다. 버섯대는 없고 노균화되면 뻣뻣해지고 흑색으로 변해 바짝마릅니다. 포도라는 이름때문에 담금주로 해서 드시는 분들도 있는데 권장하지 않습니다. 유사형태로 소나무잔나비버섯, 잔나비불로초, 등갈색미로버섯이 있습니다. 2022. 8. 1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