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야생화26

쥐손이풀 #쥐손이풀 사용 : 전초약초 관찰 : 2020년 7월 31일 설명 : 산과들에 자라며 땅에 붙어 낮게 자랍니다. 가지가 옆으로 길게 뻗고 잎장은 세장에서 결각이 지면 다섯장으로 보이기도 하며 불규칙합니다. 꽃색은 진분홍, 연한 분홍에 자주색줄 두가지 색이 있고 줄기부분에 잔털이 소복하게 나있습니다. 꽃 몽우리가 쌍으로 나있어도 한개의 꽃을 피우는 개체들이 많은데 몽우리가 중간에 탈락되면 그런듯해 보입니다. 열매는 다섯장의 꽃잎이 지고 가운데 뾰족하게 나옵니다. 생약명은 노학초이며 이뇨작용, 설사, 이질, 해독작용, 장염, 피부병에 효능이 있다고합니다. 유사종으로 이질풀이 있습니다. 이름유래 : 열매가 익으면 갈라지는데 열매자루가 쥐의 손을 닮았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합니다. 2022. 10. 6.
닭의장풀, 달개비 #닭의장풀 #식용나물 #달개비 사용 : 어린순 식용 / 전초약초 관찰 : 2020년 8월 2일 설명 : 산과들 어디에서나 쉽게 볼수 있는 흔한 야생화 입니다. 하지만 꽃이 피며 열매를 맺는 과정은 쉽게 볼수 없습니다. 1단계부터 ~ 10단계까지 과정을 살펴보았습니다. 어린순은 나물로 이용할 수 있는데 별다른 맛은 없습니다. 달개비라고도 부르며 생약명은 압척초라고 부르며 당뇨병, 고혈압, 항암, 치질에 좋다고 합니다. 유사종으로 흰꽃좀닭의장풀이 있습니다. 이름유래 : 꽃의 모습이 닭벼슬을 닮아 닭의장풀이라 부른다 합니다. 2022. 9. 26.
배풍등 #배풍등 #유독식물 사용 : 열매약초 관찰 : 2020년 8월 25일 설명 : 작은 키가 훌쩍 자라 덩굴을 타는 식물입니다. 잎의 모양은 달걀모양에서 끝부분이 파여져 있고 가는 솜털이 나있습니다. 꽃부리(꽃잎장)는 5개이고 가운데 자줏빛 안에 암술이 길게 내밀고 있습니다. 꽃이 지면 까마중과 유사한 생김새의 열매를 맺어 빨갛게 익습니다. 비슷한 종으로 왕배풍등, 좁은잎배풍등이 있습니다. 생약명은 배풍이며 중풍, 풍진, 황달, 관절, 해열, 이뇨작용에 좋다고 합니다. 주의 : 유독식물이며 일반인은 취급을 하시면 안됩니다. 이름유래 : 중풍을 고치는 약재로 사용되어 배풍등이라 불려졌다 합니다. 2022. 9. 14.
세뿔투구꽃, 맹독초 #세뿔투구꽃 #보호종 #유독식물 사용 : 유독식물/약초 관찰 : 2020년 8월 12일 설명 : 미나리아재비과 한국 고유종입니다. 미나리아재비과 식물은 독초가 많이 있습니다. 현재 멸종위기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꽃은 흰 꽃받침 안에서 자주빛 색을 띄는 꽃이 인상적입니다. 껍질을 까고 꽃이 나오는 모습이 신비롭습니다. 잎장은 삼각형이며 결각이 심하게 되면 원형을 알아볼수 없을정도로 많이 갈라집니다. 생약명은 초오이며 중풍, 전신마비치료, 황달, 이뇨작용, 신경통, 진통제, 자궁출혈억제에 사용된다고 합니다. 유사형태로 투구꽃, 진범이 있습니다. 주의 : 사약재료로 사용될만큼 독성이 매우강한 식물이니 유의 바랍니다. 이름유래 : 꽃이 투구모양을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합니다. 2022. 9. 9.
술패랭이꽃 #술패랭이꽃 #식용약초 사용 : 지상부약초 관찰 : 2020년 8월 12일 설명 : 쌍떡잎식물이며 꽃이 피면 바람에 한올한올 펄럭이는 것처럼 보입니다. 여러마리의 새가 날개짓을 하는거 같습니다. 꽃의 분화형태는 취산꽃차례(꽃대 끝에 한 개의 꽃이 피고 가지 끝에 다시 꽃)의 형태입니다. 장통구맥이라고도 불리며 꽃 몽우리는 길쭉하게 여러개 달려 있습니다. 꽃색은 흰색과 분홍색 두가지입니다. 생약명은 구맥이며 부종, 이뇨작용, 통경, 눈의충열, 무월경에 효과를 보인다고 합니다. 유사형태로 패랭이꽃이 있습니다. 이름유래 : 꽃 모양이 예전 선조들의 패랭이모자를 쓰고 흔들린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합니다. 2022. 9. 4.
돌양지꽃 #돌양지꽃 #식용나물 #식용약초 #꽃차재료 사용 : 어린순 식용/ 전초약초 관찰 : 2020년 8월 25일 설명 : 능선 양지바른곳 바위틈에 자리를 잡고 무리지어 자라납니다. 잎장은 단풍잎처럼 뽀족하고 톱니 모양 입니다. 양지꽃 잎장의 비해 줄무늬와 색이 선명하고 꽃잎은 다섯장입니다. 노란색꽃을 피우며 우리나라 고유종 입니다. 어린순은 나물로 사용가능한데 양이적어 효용가치는 없습니다. 생약명 지봉자라하며 혈액순환, 심혈관질환에 좋다합니다. 유사형태로 짚신나물, 양지꽃, 세잎양지꽃이 있습니다. 이름유래 : 양지에서 꽃이핀다하여 양지꽃이라 붙여졌다고 합니다. 2022. 8. 20.
꼬리조팝나무 #꼬리조팝나무 #식용나물 #식용약초 #꽃차재료 사용 : 어린순 식용/ 전초약초 관찰 : 2020년 8월 27일 설명 : 양지식물이며 산지나 습한곳이 자생지입니다. 반그늘에서도 잘자랍니다. 꽃은 원추형(차례로피는꽃)솜사탕처럼 부풀어 올라 피는데 진한 다홍색에서 점차 하얀색으로 색이 빠집니다. 꽃잎은 다섯장이고 수술이 혀를 내밀듯 살짝 나와있습니다. 진주화라고도 불려집니다. 어린순은 나물로 사용합니다. 생약명은 목상화라고 하며 변비, 관절염, 기침, 월경불순, 설사에 좋다고 합니다. 이름유래 : 조팝은 제주도 방언으로 조밥이며 붉은 긴꼬리 처럼보여 꼬리조팝나무라 붙여진 이름입니다. 2022. 8. 15.
금불초 #금불초 #식용나물 #식용약초 사용 : 어린순 식용/ 전초약초 관찰 : 2020년 8월 27일 설명 : 양지에 잡풀과 섞여 살고 습지에 무리를 이루며 자랍니다. 잎겨드랑이에 꽃몽우리는 별모양을 닮아 이쁩니다. 국화과이며 뿌리번식, 씨앗번식 두가지를 동시에 합니다. 번식력이좋아 재배하여 관상용으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생약명으로 꽃은 선복화, 뿌리는 금불초근이라 하며 진정작용, 거담, 기관지, 이뇨작용, 위장장애에 좋다합니다. 어린순을 나물로 사용 가능합니다. 이름유래 : 황금색 꽃을 피우는 풀이라 붙여진 이름이라 합니다. 2022. 8. 9.
울산도깨비바늘 #울산도깨비바늘 #식용나물 #식용약초 사용 : 어린순 식용/ 전초약초 관찰 : 2020년 8월 19일 설명 : 도깨비바늘에 한번씩 당해보셨을텐데 꽃이 바늘로 변해서 산속 토끼, 다람쥐등 동물에 달라붙어 자손을 번식하는 식물입니다. 옷깃에 한번만 스처도 많이 달라붙어 여간 귀찮은 식물이 아닙니다. 가시끝이 3갈래 갈고리형태로 되어있어 잘 떨어지지 않습니다. 꽃은 잎장이 없는 통꽃노란색입니다. 어린순을 데친뒤 우려낸 후 나물로 사용 가능합니다. 중국에서는 재배까지한다고 합니다. 생약명은 귀침초이며 당뇨병, 항암, 복통, 해열, 위염, 독해독, 방광염에 좋다고 합니다. 유사종으로 도깨비바늘, 흰도깨비바늘이 있습니다. 2022. 8. 2.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