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분류 전체보기92

쥐손이풀 #쥐손이풀 사용 : 전초약초 관찰 : 2020년 7월 31일 설명 : 산과들에 자라며 땅에 붙어 낮게 자랍니다. 가지가 옆으로 길게 뻗고 잎장은 세장에서 결각이 지면 다섯장으로 보이기도 하며 불규칙합니다. 꽃색은 진분홍, 연한 분홍에 자주색줄 두가지 색이 있고 줄기부분에 잔털이 소복하게 나있습니다. 꽃 몽우리가 쌍으로 나있어도 한개의 꽃을 피우는 개체들이 많은데 몽우리가 중간에 탈락되면 그런듯해 보입니다. 열매는 다섯장의 꽃잎이 지고 가운데 뾰족하게 나옵니다. 생약명은 노학초이며 이뇨작용, 설사, 이질, 해독작용, 장염, 피부병에 효능이 있다고합니다. 유사종으로 이질풀이 있습니다. 이름유래 : 열매가 익으면 갈라지는데 열매자루가 쥐의 손을 닮았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합니다. 2022. 10. 6.
닭의장풀, 달개비 #닭의장풀 #식용나물 #달개비 사용 : 어린순 식용 / 전초약초 관찰 : 2020년 8월 2일 설명 : 산과들 어디에서나 쉽게 볼수 있는 흔한 야생화 입니다. 하지만 꽃이 피며 열매를 맺는 과정은 쉽게 볼수 없습니다. 1단계부터 ~ 10단계까지 과정을 살펴보았습니다. 어린순은 나물로 이용할 수 있는데 별다른 맛은 없습니다. 달개비라고도 부르며 생약명은 압척초라고 부르며 당뇨병, 고혈압, 항암, 치질에 좋다고 합니다. 유사종으로 흰꽃좀닭의장풀이 있습니다. 이름유래 : 꽃의 모습이 닭벼슬을 닮아 닭의장풀이라 부른다 합니다. 2022. 9. 26.
고무버섯 #고무버섯 #식용버섯 사용 : 식용 관찰 : 2020년 8월 17일 설명 : 유균일때는 도토리와 비슷하게 생겼습니다. 갈색 타원형으로 오무라져 있다가 성균이 되어 갈수록 갓은 평평하고 검정색으로 변합니다. 노균이 되면 바짝말라 미역처럼 보입니다. 유균을 절단해 보면 하얀젤리 같이 말랑하며 우윳빛이 돕니다. 표고버섯재배 나무에 발생하기도 하며 젤라틴 처럼 식감이 좋아 식용버섯으로 좋습니다. 2022. 9. 20.
산행, 자연풍경 #산행 #자연풍경 2022. 9. 17.
배풍등 #배풍등 #유독식물 사용 : 열매약초 관찰 : 2020년 8월 25일 설명 : 작은 키가 훌쩍 자라 덩굴을 타는 식물입니다. 잎의 모양은 달걀모양에서 끝부분이 파여져 있고 가는 솜털이 나있습니다. 꽃부리(꽃잎장)는 5개이고 가운데 자줏빛 안에 암술이 길게 내밀고 있습니다. 꽃이 지면 까마중과 유사한 생김새의 열매를 맺어 빨갛게 익습니다. 비슷한 종으로 왕배풍등, 좁은잎배풍등이 있습니다. 생약명은 배풍이며 중풍, 풍진, 황달, 관절, 해열, 이뇨작용에 좋다고 합니다. 주의 : 유독식물이며 일반인은 취급을 하시면 안됩니다. 이름유래 : 중풍을 고치는 약재로 사용되어 배풍등이라 불려졌다 합니다. 2022. 9. 14.
삽주, 백출, 창출 #삽주 #식용나물 사용 : 어린순 식용/뿌리약초 관찰 : 2020년 8월 12일 삽주는 산 비탈길이나 바짝마른 산지에서 잘 자랍니다. 약초로 이용되지만 야생화로도 아름답고 개성있는 꽃을 피웁니다. 꽃색은 흰색과 분홍색 두가지로 피웁니다. 잎장 끝에 톱니모양이 촘촘하게 나있습니다. 꽃은 톱니가 있어 만지만 따갑습니다. 뿌리를 백출, 창출로 나뉘는데 캐어보면 알통같은것(백출)과 알통에 연결되어 진것(창출)이 있습니다. 어린순은 나물로 이용할수 있습니다. 생약명은 창출이며 위장개선, 식욕부진, 소화불량, 감기등 위장 관련해 특히 효능을 보인다고 합니다. 이름유래 : 추정을 해보면 한자로(푸를창), (차초출)인데 잎장이 다른식물에 비해 뚜렷하게 푸르러 창출로 지어졌다고 생각되어 집니다. 2022. 9. 12.
세뿔투구꽃, 맹독초 #세뿔투구꽃 #보호종 #유독식물 사용 : 유독식물/약초 관찰 : 2020년 8월 12일 설명 : 미나리아재비과 한국 고유종입니다. 미나리아재비과 식물은 독초가 많이 있습니다. 현재 멸종위기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꽃은 흰 꽃받침 안에서 자주빛 색을 띄는 꽃이 인상적입니다. 껍질을 까고 꽃이 나오는 모습이 신비롭습니다. 잎장은 삼각형이며 결각이 심하게 되면 원형을 알아볼수 없을정도로 많이 갈라집니다. 생약명은 초오이며 중풍, 전신마비치료, 황달, 이뇨작용, 신경통, 진통제, 자궁출혈억제에 사용된다고 합니다. 유사형태로 투구꽃, 진범이 있습니다. 주의 : 사약재료로 사용될만큼 독성이 매우강한 식물이니 유의 바랍니다. 이름유래 : 꽃이 투구모양을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합니다. 2022. 9. 9.
접시껄껄이그물버섯 #접시껄껄이그물버섯 #식용버섯 사용 : 식용 관찰 : 2020년 8월 17일 설명 : 어린유균부터 대가 굵고 성균이 되면 대형화 되는 버섯입니다. 30Cm정도 까지 크기도 합니다. 갓은 둥근모양이고 살구색에서 성균이 되어 갈수록 넓어지고 평평해져 표면이 찢기듯 갈라집니다. 반으로 갈라보았을때 색변화는 없고, 관공의 색은 노란색을 띕니다. 노균의 되어 녹아내릴때는 그 크기만큼이나 벌레들이 많이 모여드는 접시껄껄이그물버섯입니다. 2022. 9. 7.
술패랭이꽃 #술패랭이꽃 #식용약초 사용 : 지상부약초 관찰 : 2020년 8월 12일 설명 : 쌍떡잎식물이며 꽃이 피면 바람에 한올한올 펄럭이는 것처럼 보입니다. 여러마리의 새가 날개짓을 하는거 같습니다. 꽃의 분화형태는 취산꽃차례(꽃대 끝에 한 개의 꽃이 피고 가지 끝에 다시 꽃)의 형태입니다. 장통구맥이라고도 불리며 꽃 몽우리는 길쭉하게 여러개 달려 있습니다. 꽃색은 흰색과 분홍색 두가지입니다. 생약명은 구맥이며 부종, 이뇨작용, 통경, 눈의충열, 무월경에 효과를 보인다고 합니다. 유사형태로 패랭이꽃이 있습니다. 이름유래 : 꽃 모양이 예전 선조들의 패랭이모자를 쓰고 흔들린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합니다. 2022. 9. 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