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야생화26

오이풀 #오이풀 #식용약초 #식용나물 사용 : 어린순 식용/뿌리 약초 관찰 : 2020년 8월 21일 설명 : 양지를 좋아하는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꽃은 자주색을 뛰며 꽃자루가 없이 여러갈래로 솟아납니다. 오이풀 잎을따서 비벼보거나 근처에만 가도 향기롭고 청량한 오이냄새가 납니다. 외순나물, 수박풀이라고도 불려지고 어린순은 나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잎장은 뻣뻣해보이고 톱니가 나있습니다. 생약명은 지유이며 화상치료, 해독, 설사, 대장염, 편도염에 효능이 있다합니다. 이름과 식물의 특성이 잘 맞는 오이풀입니다. 2022. 7. 24.
각시원추리 #각시원추리 #꽃차재료 #유독식물 사용 : 여린순 식용, 뿌리 약초 관찰 : 2020년 8월 20일 설명 : 백합과 양지 식물이며 원추리의 종류가 많습니다. 원추리, 애기원추리, 각시원추리, 노랑원추리, 왕원추리가있습니다. 각시원추리는 원추리에 비해 총상이 큽니다. 생약명이 훤초근이며 황달, 임질, 폐결핵, 종양, 빈혈, 이뇨작용에 효능이 있다합니다. 주의 : 어린순을 데친후 반드시 우려내고 사용 해야합니다. 독성이 있어 바로 나물로사용 해 중독사고가 많은 식물입니다. 이름유래 : 중국발음에 휀초에서, 원초, 원추로 변화되었다합니다. 2022. 7. 20.
푸른여로 #푸른여로 #유독식물 사용 : 뿌리 약초 관찰 : 2020년 8월 20일 설명 : 푸른여로는 풀색꽃을 피우며 줄기에는 솜털이 나있습니다. 수술과 암술은 튀어나와있다 수정이 끝나면 말라버립니다. 유사종으로 파란여로가 있는데 꽃 중앙에 반점이있고 그냥 여로는 자주색꽃을 피웁니다. 유독식물이지만 한방에서는 박새와 여로를 같이사용 하며 약효로 중풍, 거담, 늑막염, 골절, 살충제의 효능이 있다합니다. 주의 : 명이나물, 비비추, 박새와 혼동되어 중독사고가 나는 식물입니다. 이름유래: 뿌리는 검은색을 뛰며 파의모습을 하고 있어 한자식 이름으로 붙여졌습니다. 2022. 7. 19.
산비장이 #산비장이 사용 : 어린순 식용/전초 약초 관찰 : 2020년 8월 19일 설명 : 자색꽃을 피우며 산 양지 바른곳에 주로 자랍니다. 꽃을 보면 엉겅퀴와 비슷해 보입니다. 어린순을 데처 조금 우려낸다음에 사용합니다. 해독, 치질, 월경통, 타박상에 효능이 있다합니다. 이름유래 : 조선시대 관직중 비장이란 관직이 있습니다. 사또밑에 예방, 형방, 공방, 이방등이 있는데 비장은 특수한 임시직책이며 오랑캐가 쳐들어오거나 할때 무사로 차출했던 모양 입니다. 큰키를보고 산을지키는 비장이라서 산비장이라 합니다. 2022. 7. 17.
물봉선 #물봉선 #유독식물 사용 : 어린순 식용/전초 약초 관찰 : 2020년 8월 18일 설명 : 물가나 계곡옆 습한곳에 주로 자랍니다. 연분홍 빛의 꽃을피우며 꿀주머니가 달팽이 처럼 말립니다. 꽃의 옆모습이 물고기를 닮아보이기도 합니다. 유사종으로 흰물봉선이 있습니다. 독성이 있어 나물로 이용시 삶아 충분히 우려낸 후 소량 사용합니다. 생약명은 야봉선화이며 강장효과, 종기치료, 궤양, 해독, 염색염료에 사용된다고 합니다. 이름유래 : 봉선화를 닮고 물가에 핀다하여 물봉선 이라합니다. 2022. 7. 16.
사철난 #사철난 #보호종 사용 : 야생화 관찰 : 2020년 8월 17일 설명 : 사철난을 만났습니다. 잎맥에 그물처럼 하얀줄이 나있고 꽃은 15개 가량 달립니다. 울릉도쪽이 자생지라 합니다. 산림청 관심종 입니다. 예뻐도 집에 가져 오지마세요^^ 노루발과 유사해보여 잠깐 멈칫했습니다. 2022. 7. 15.
난쟁이바위솔 #난쟁이바위솔 사용 : 전초 약초 관찰 : 2020년 8월 16일 설명 : 돌나물과로 고산 높은산 바위틈에 무리를 이루고 살아갑니다. 뽀족한 생김새와 줄기는 자주색입니다. 자연 바람을 맞으며 자라기 때문에 바닥에 딱 붙어있습니다. 안개를 먹으면 분홍색꽃으로 변했다가 수분이 부족해지면 흰색으로 돌아옵니다. 이름엮시 야생화랑 꼭 맞는이름입니다. 항암효과가 있다고 하나 약초로쓰기에 너무 예쁜식물입니다. 유사종으로 바위채송화가 있습니다. 난쟁이바위솔찾기도 힘들었고 촬영하기가 너무 위험했습니다. 2022. 7. 13.
쥐손이풀 #쥐손이풀 #식용약초 사용 : 전초 약초 관찰 : 2020년 8월 15일 설명 : 꽃잎장은 다섯장이고 수술이 안에 가느다랗게 감싸안아 분홍빚을 띕니다. 줄기에는 솜털이 나있습니다. 오엽초, 노관초라고도 하며 산과들에 서식합니다. 이질과 설사병에 좋다하며 항암, 장염, 피부병에도 효능이있습니다. 유사종으로 쥐손이풀, 흰이질풀, 선이질풀이 있습니다. 2022. 7. 12.
으아리, 위선령 #으아리 #유독식물 #식용나물 #위령선 사용 : 독/어린순 식용, 뿌리 약초 관찰 : 2020년 8월 13일 설명 : 꼭대기 덩굴손 모양이 활을 닮았습니다. 꽃색은 흰색이고 바닥에 누워 번식하며 덩굴을 타고 올러가기도 합니다. 독성이있는 미나리아재비과 입니다. 어린순을 나물로 이용하는데 충분히 우려낸 후 소량 사용합니다. 생약명은 위령선이라하며 마비, 요통, 이뇨작용, 방광염, 신장염, 설사에 좋다고 합니다. 유사종으로 큰으아리가 있습니다. 이름유래 : 으아리 열매가 응어리져있다 하여 붙여진이름이라고도 하고 줄기가 질겨 잘 끊어지지 않아 붙여진 이름이라 합니다. 2022. 7. 11.
728x90